핑(Ping)은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호스트에게 접근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 도구의 하나이다. 1983년 12월 마이크 무스가 네트워크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로 개발하였다.
The Story of the PING Program 라는 제목에 웹사이트와 서적에서 소스코드와 개발이야기를 볼 수 있다.
핑의 작동 원리는 URL이나 IP를 지정해 대상에게 echo를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해 전송한 상대에 echo응답을 기다리는 형태이다. 데이터가 중간에 손실되거나 사라지는 경우를 대비해 여러번 핑을 날려서
그 평균속도를 결과로 보여준다. 예전에는 대상으로 연결이 가능한경우 응답을 해줬으나 현재는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핑 요청을 무시한다.
문제 설명
정수 한 개가 입력되었을 때 카운트다운을 출력해보자.
(1 ~ 100)
입력
정수 한 개가 입력된다.
(1 ~ 100)
출력
1만큼 씩 줄여 한 줄에 하나씩 1이 될 때까지 출력한다.
입력 예시
5
출력 예시
5 4 3 2 1
도움말
while(조건)
{
...;
}
구조를 사용하자.
예시
int n;
scanf("%d", &n);
while(n!=0)
{
printf("%d", n);
n=n-1; //n--; 와 같다.
}
'Programming > Codeup.kr기초100제 && 컴퓨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반복실행구조] 문자 한 개 입력받아 알파벳 출력하기 && 프록시 서버 (1) | 2017.01.14 |
---|---|
[기초-반복실행구조] 정수 한 개 입력받아 카운트다운 출력하기2 && traceroute (1) | 2017.01.13 |
[기초-반복실행구조] 0 입력될 때까지 무한 출력하기2 && DoS (0) | 2017.01.11 |
[기초-반복실행구조] 정수 입력받아 계속 출력하기 && DNS (0) | 2017.01.10 |
[기초-반복실행구조] 0 입력될 때까지 무한 출력하기1 && 월드 와이드 웹 (0) | 201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