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이란 '가상으로 보고 느낄 수 있게 한 세계'란 의미다. 이것에 대해 최근 기어 VR이나 오큘러스 리프트같은 HMD기기를 통한 가상현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여기서 HMD기기란 'Head Mounted Display'의 약자로 머리에 쓰는 디스플레이라는 의미다.) HMD는 시각과 청각밖에 지원을 하지 않기에 아직 촉각이나 미각 같은 다른 감각은 HMD에 비해 부족하다. 허나 출력장치가 아닌 입력장치로는 모션 캡쳐 카메라라던지, 전방위 트레드밀 같은 기기가 출시되어 손동작이나 걷기, 뛰기가 가능하다.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차이로는 일단 실제 세계가 반영되나 반영되지 않나로 구분 할 수 있다. 또, 투영된 현실을 느낄 수 있나 그렇지 않나로 나뉘어도 무방하지 않나 생각된다.(기술이 발전되어 증강현실도 만지고 느낄 수 있다면 말이 또 달라지겠지만 말이다.)
현재 가상현실을 활용하는 사례는 취미생활로 드론, 롤로코스터, 서바이벌 게임장 같은 것이 출시되었다. 뿐만 아니라 군대 훈련이나, 심리상담, 면접대응과 같은 곳에서도 활용되어지고 있다.
정수 두 개(a, b)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단, 두 개의 정수 a, b의 범위는 0 ~ 2147483647이고, b는 0이 아니다.)
정수 두 개(a, b)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단, a, b의 범위는 0 ~ 2147483647이고, b는 0이 아니다.)
a 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3 7
3
C언어에서 a%b 연산의 결과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가 계산된다.
% 연산자(modulus, mod 연산)는 수학자 가우스가 생각해낸 연산으로 어떤 정수를 다른 정수로 나누고 난 후 남는 나머지를 계산한다.
단, 음이 아닌 정수에 대해서만 연산할 수 있다.
Python에서도 같은 연산기호로 나머지연산을 할 수 있다.
이 방법 외에도 a-int(a/b)*b과 같이 (나누는 수)-(몫)*(나뉘어지는 수) 로 나머지를 계산할 수 있다.
'Programming > Codeup.kr기초100제 && 컴퓨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산술연산] 정수 두 개 입력받아 자동 계산하기 && RFID (0) | 2016.12.10 |
---|---|
[기초-산술연산] 정수 한 개 입력받아 1 더해 출력하기 && GPS (0) | 2016.12.09 |
[기초-산술연산] 정수 두 개 입력받아 나눈 몫 출력하기 && 증강현실 (1) | 2016.12.07 |
[기초-산술연산] 문자 한 개 입력받아 다음 문자 출력하기 && 컴퓨터 어원 (0) | 2016.12.05 |
[기초-산술연산] 정수 한 개 입력받아 부호 바꿔 출력하기 && IDE (0) | 2016.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