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Codeup.kr기초100제 && 컴퓨터 이야기

[기초-입출력] 년월일 입력받아 형식에 맞게 출력하기 && 메모리1

메모리는 기억장치로 불리기도 하며 컴퓨터의 데이터를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저장시킬 때 사용되는 장치이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따라, 접근 방식에 따라, CPU와 가까운 정도에 따라 나뉜다.


§속도가 빠르지만 용량이 작은 메모리

레지스터:

CPU안에 있는 메모리로 수많은 정수와 실수 값을 읽고 쓸 수 있다. 이 때 정수는 32bit라면 32bit정수 까지를 64bit라면 64bit까지의 정수를 가질 수 있다.

캐시:

프로그램에서 직접 읽거나 쓸수는 없지만 메모리 관리 시스템이 직접 제어한다. 대부분 프로그램에서 한번 사용한 데이터를 다시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데, 캐시가 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 쓴다.

버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임시로 저장해 놓는 물리적 저장소이다. 쉽게 생각하자면 우체통이라 생각하면 된다. 우체통에 명령이나 데이터를 담아두기만 하면 우체부가 와서 필요한곳에 가져다 준다. 우체통이 꽉차게 되어 오류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것이 버퍼 오버플로우 이다.

RAM:

사용자가 자유롭게 읽고 쓰며 지울 수 있는 메모리이다.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인데 Random Access란 것은 무작위가 아니라 어디에 있든 바로 접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쉽게 카세트 테이프를 생각하면 차례차례로 넘겨야 원하는 부분이 나오지만, 컴퓨터로 동영상을 볼 때 타임라인만 지정해주면 바로 갈 수 있다고 이해하면된다.

ROM:

첫 내용 작성이후 내용수정이 어려운 메모리이다.(Read Only Memory) 대표적으로 CD가 있는데, 지금은 수정이 가능한 것도 있지만, 대체로 한번 구우면 수정이 어렵다.


지금까지의 메모리는 대부분 휘발성 메모리이다.

계속...

문제 설명

년, 월, 일을 입력받아 형식에 맞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년, 월, 일이 ".(닷)"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입력받은 년, 월, 일을 출력한다. 단, 자릿수는 yyyy.mm.dd형태로 출력한다.

입력 예시

2012.11.21

출력 예시

2012.11.21

도움말
%02d를 사용하면 2칸을 사용해 출력하는데, 1자리 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어 출력된다.
Python에선 문자열에 .zfill(자릿수)를 해주면된다. 예를들어 "5".zfill(2) 이라면 "05"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