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에게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서 A와 B가 채팅을 한다고 하자. A가 B에게 '어이'라고 보내기 위해 메신저를 켜서 B에게 보낸다. 이 때 메신저가 클라이언트고 메신저는 '어이'라는 데이터를 가지고 메신저 서버에 보낸다. 이후 B에게로 메신저가 데이터를 받아 전달하는 구조인 셈이다.
클라이언트는 서버 의존도에 따라 다음 세가지로 나뉜다.
●팻 클라이언트(Fat Client)
리치 클라이언트(Rich Client), (Thick Client)라고도 한다. 서버가 없이도 독립적으로 일처리가 가능하며, 정보를 로컬 기기에 저장할 수 흔히 쓰는 가정용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가 여기에 속한다.
●씬 클라이언트(Thin Client)
최소한의 클라이언트로, 서버나 호스트 컴퓨터의 리소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저장, 처리를 스스로 할 수 없다. TV가 이런종류의 클라이언트라 생각하면 되는데, TV스스로 영상을 재생하거나 처리할 수 없으니 다른 곳으로부터 받아오는 셈이다.
●하이브리드 클라이언트(Hybrid Client)
위 언급한 두 클라이언트를 합쳐 놓은 것이다. 일 처리는 스스로 하지만 저장은 서버에서 하는 방식이다. 처리 성능이 좋은 팻 클라이언트와 관리 능력이 좋은 씬 클라이어트의 장점이 합쳐진 형태이다.
평가(A, B, C, D, ...)를 문자로 입력 받아 내용을 다르게 출력해보자.
평가내용
평가 : 내용
D : slowly~
C : run!
B : good!!
A : best!!!
나머지문자들 : what?
영문자 한 개가 입력된다.
(A, B, C, D 등의 문자가 입력된다.)
평가내용에 따라 다른 내용이 출력된다.
A
best!!!
조건/선택문을 복합적으로 구성해 출력할 수도 있지만,
switch(정수값)
{
case 'A':
...;
break;
case 'B':
...;
break;
case 'C':
...;
break;
default:
...;
break;
...
}
과 같은 switch( ) ... case... break; 제어문을 사용할 수 있다.
** break; 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후의 명령들도 계속 실행된다.
default: 는 제시된 case 가 아닌 모든 경우에 실행된다.
switch( ) 에 주어지는 값은 "정수"값만 가능하다. 문자도 정수값이기 때문에 된다.
애석하게도 Python에선 switch구문이 없다. 비슷하게 만들 수는 있지만 굳이 그럴필요까지는 없어보인다.
'Programming > Codeup.kr기초100제 && 컴퓨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반복실행구조] 0 입력될 때까지 무한 출력하기1 && 월드 와이드 웹 (0) | 2017.01.09 |
---|---|
[기초-조건/선택실행구조] 달 입력 받아 계절 출력하기 && 브라우저 (0) | 2017.01.08 |
[기초-조건/선택실행구조] 정수 한 개 입력받아 평가 출력하기 && 서버 (0) | 2017.01.06 |
[기초-조건/선택실행구조] 정수 한 개 입력받아 분석하기 && 하이퍼텍스트 (0) | 2017.01.05 |
[기초-조건/선택실행구조] 정수 세 개 입력받아 짝/홀 출력하기 &&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0) | 201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