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입출력] 실수 한 개 입력받아 부분별로 출력하기 && ALU 연산이란 컴퓨터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료, 기억 장치 내에 보관된 자료, 중앙 처리 장치내의 기억 장치인 레지스터에 보관던 자료등을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연산에 사용되는 자료의 성질에 따라 비수치적 연산과 수치적 연산이있다. 또, 사용되는 자료의 수에 따라 단항연산과 2진 연산으로 나눈다. ALU(산술 논리 연산 장치)는 산술 연산과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하고 판단하는 논리 연산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산술연산엔 10진수 계산과 고정소수점 연산 및 부동 소수 점 연산 등이 있다. 그리고 논리 연산에는 로드, 스토어, 시프트, 비교 및 분기, 편집, 변환 등이있다. ALU의 구성으로는 가산기를 중심으로 레지스터, 보수를 만드는 보수기, 오버 플로를 검사하는 오버플로 검출기 등으로 구성된다. ●가산기: 2개.. 더보기
[기초-입출력] 문장 한 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 && CPU2 CPU의 기본구성으로 명령어를 저장하는 역할인 프로세스 레지스터와 비교,판단,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장치(ALU), 명령어의 해석과 CPU를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 unit) 그리고 내부 버스 등이있다. CPU의 내장회로에는 '명령어 집합'으로 이루어졌는데 기본연산은 옵코드라고 불리는 특정한 비트의 조합으로 나타낸다.이 때 명령어의 실제 연산은 CPU내부의 산술논리장치가 담당한다. 나머지 부분들은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메모리로 부터 불러오고, 연산의 결과값을 저장한다. CPU는 코어의 갯수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코어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중앙처리장치 역할을 하는 블록이다.●싱글 코어 싱글 코어는 말 그대로 코어가 한개라는 소리다. 멀티코어에 비해 싸고 프로그래밍이 쉽지만, 고장이 나면.. 더보기
[기초-입출력] 단어 한 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 && CPU1 CPU란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로 중앙처리 장치이다. 컴퓨터의 모든 계산은 CPU가 한다. 현대적인 CPU는 아래의 과정을 거쳐 명령어를 실행한다. ●Fetch: 명령어들을 가져온다. 한번에 보통 4개 정도를 처리한다. ●Decode: 처리를 돕기위해 명령어들을 분류한다. ●Rename: 명령어가 가리키는 레지스터를 내부 물리적 레지스터로 찾아준다. ●Dispatch: 명령어가 실행하기 위해 기다리는 대기열에 명령어를 넣는다. ●Issue: 대기열에 있는 명령어가 실행가능하다면 실행에 필요한 장치로 보낸다. ●Execute: 실행한다 ●Writeback: 결과값을 레지스터에 써야한다면 쓰고, 결과가 필요한 명령이 있다면 결과가 생겼다고 알려준다. ●Commit: 명령 수행을 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