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Codeup.kr기초100제 && 컴퓨터 이야기

[기초-삼항연산] 정수 세 개 입력받아 가장 작은 수 출력하기 && 통신 프로토콜

통신 프로토콜은 기기간에 정보를 주고 받기위해 짜여진 규칙체계이다. 신호의 방식, 인증, 오류감지 및 수정 기능을 포함할 때도 있다. 예를 들자면 대화를 할 시 어순이나, 행동 몸짓등이 프로토콜인 것이다. 또한 어떤 사람이 말을 너무 빨리하여 알아들을 수 없거나 중의적인 표현을 사용했을때, "뭐라고?"등의 표현을 하는것이 오류검증 및 수정이다.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하는 http와 https도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프로토콜의 한 종류이다. ISO, IEEE같은 기관이 프로토콜을 정의 한다.

문제 설명

입력된 세 정수 a, b, c 중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단, 조건문을 사용하지 않고 3항 연산자 ? 를 사용한다.)

입력

세 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2147483648 ~ 2147483648)

출력

가장 작은 값이 출력된다.

입력 예시

1 2 3

출력 예시

1

도움말

C언어 소스코드 작성시 모든 요소들은
"순서에 따라 한 단계씩 실행"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하나씩 연산 수행" <- 사칙연산계산시 */먼저 나중에+-처럼
"연산된 결과를 이용해 다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연산"
...

등의 원리가 적용된다.

따라서 3항 연산자 ?를 중첩해(괄호로 묶는 등..) 이용하면 

여러 값들을 순서대로 비교해 가장 큰/작은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 ? a:b)>c ? (a>b ? a:b):c 
의 계산식은 a, b, c 의 값 중 가장 큰 값으로 계산된다.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어떤 순서에 따라 계산될지 생각해보고

여러가지 연산자가 동시에 여러개 사용된 식이 있을 때,

어떤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대로 계산이 되는지 스스로 찾아보도록 한다.

"연산자 우선순위"를 검색하면 우선순위와 결합방향이 나온다.

예를 들어 변수에 어떤 값을 대입하는 대입(assign) 연산자 = 의 우선순위는

가장 낮고, 오른쪽에서 왼쪽의 결합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0;

의 식을 실행하면.. 오른쪽에서 부터 왼쪽으로 가면서.. 

처음에 j 변수에 0이 대입되고, 
다음에 i 변수에 j변수에 저장되어있는 값이 저장되고,
그 다음에 h 변수에 i변수에 저장되어있는 값이 저장되고,
...

결국 모든 변수의 값을 0으로 만드는 결과가 된다. 

** 3항 연산자는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복잡한 계산식이나 조건처리, 비교구조를 매우 간단히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잘 사용해보면 나름대로의 재미와 묘미가 있는 연산자이다.

특히, 보다 짧은 코드로 문제를 해결하려고하는 숏코딩(coding)에서는 빠질 수 없는 요소이다.

각 문제 페이지의 아래쪽에 통계(statistics)를 눌러보면,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한 코드의 총 문자수가 숫자로 표시된다.

"똑같이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지만, 때로는 아주 적은 소스코드 양으로 풀어내는 것을 매우 즐기는 숏코더들이 있다."

숏코딩은 일종의 재미이기는 하지만, 프로그래밍언어의 밑바닥 기초, 세세한 처리과정에 대한 이해, 

컴파일러의 소스코드 해석과 변환 등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