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Codeup.kr기초100제 && 컴퓨터 이야기

[기초-출력변환] 10진 정수 한 개 입력받아 16진수로 출력하기1 && 빅 데이터

이전 포스팅에서 데이터를 다루었다. 이번엔 빅 데이터에 대해 소개를 하려 한다. 빅 데이터란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뿐더러 이러한 데이터로 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과학 기술 등 전 영역에 걸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 데이터 집합의 크기가 수십 테라바이트에서 수 페타바이트에 이르며, 계속 변화하고 있다. 이런 방대한 데이터로 현대 사회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여 개인화된 현대 사회 구성원들 마다 맞춤형 정보를 제공, 관리, 분석 가능케 하며 과거엔 불가능 했던 기술을 가능케 한다.


빅 데이터 처리 기법은 크게 분석 기술, 표현 기술로 나뉜다.

-분석 기술

통계학과 전산학에 사용되던 여러기술(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자연 언어 처리, 패턴 인식)등이 해당된다. 또 소셜 미디어 사용 증가로 인해 다음과 같은 분석기법이 주목받는다.

●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텍스트 데이터를 기계적으로 분석해 기계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바꾸거나 그 반대로 컴퓨터의 언어를 인간이 알아들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인 자연 언어 처리 기술로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한다.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소셜미디어 등의 텍스트의 긍정, 부정, 중립의 선호도를 판별한다.


● 소셜 네트워크 분석:

소셜 네트워크의 연결 구조 및 강도 등을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의 인지도, 영향력을 분석한다.


● 군집 분석: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개체를 합쳐가며 최종적으로 유사 특성의 군집을 발굴한다.


-표현 기술

빅 데이터 기술로 분석된 데이터의 수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로 대표적인 것으로는 R언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되었던 빅데이터 사례중 하나로는 버스 노선도가 있다. 퇴근시간에 전화하는 곳이 집이라는 아이디어를 가져와 어디서 어디로 전화하는지 조사하여 통계를 냈다. 이렇게 통계낸 데이터를 가지고 두 장소를 연결하는 버스를 배정했었다.


빅 데이터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에 따른 비판적인 의견도 증가하는데 대표적인 예로 정보유출을 들 수 있다. 빅 데이터 자체가 수 많은 사람들의 정보의 집합이다. 그래서 수집, 분석시 개인들의 사적인 정보까지 수집하는 모습이 나타날 우려가 생긴다. 또, 만약 이 데이터가 보안 문제로 유출이라도 된다면... 엄청난 사람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이다.

문제 설명

10진수를 입력받아 16진수(hexadecimal)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10진수 1개가 입력된다.

출력

입력 받은 10진수를 16진수로 바꾸어 출력한다.

입력 예시

255

출력 예시

ff

도움말

%d(10진수 형태)로 입력 받고
%x로 출력하면 16진수(hexadecimal) 형태로 소문자로 출력된다.

10진법은 한 자리에 10개(0 1 2 3 4 5 6 7 8 9) 문자 중 한 개를 사용한다.

16진법은 한 자리에 16개(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문자 중 한 개를 사용한다.

16진법의 a는 10진법의 10, b는 11, c는 12 ... 와 같다.


Python에선 16진수를 표현하기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hex(10진수) 괄호안에 숫자가 아닌 다른 데이터 타입을 넣주면 에러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