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입출력] 문자 한 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 && 함수에 대하여 코드를 짜다보면 중복되는 명령어들로 인해 코드가 길어지고 읽기 어려워진다. 이렇게 되면 옛날에 썻던 코드를 다시 사용하고 싶을 때 찾지 못하며 변수를 계속해서 만들다 보니 관리가 어려워진다. 이렇게 해서 등장하게 된것이 함수이다. 함수란 "필요한 기능을 하는 코드를 따로 빼서 묶어 놓은 것"이다. 이렇게 만든 함수에 이름을 붙여 다시 쓸때에 함수를 불러와 다시 같은기능을 시킬 수 있다. 사실 함수는 알게모르게 엄청나게 사용하고 있다. 출력이나 입력을 받을 때 사용했던 printf() 나 scanf() (파이썬이라면 print() input()) 등도 모두 함수이다. 이와 같이 미리 구현되어 있는 함수를 라이브러리 함수라 하고 본인이 만든 함수를 사용자 함수 라고 한다. 또한 예전에 언급했듯 c언어에서 m.. 더보기 [기초-입출력] 정수 한 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 && 변수에 대해서 프로그램에서 변수는 수학에서의 변수와 약간 다른 의미를 가진다. 수학에서의 변수는 그 변수값을 구하거나 그것을 이용해 다른 연산을 하기 위해 필요로 하지만. 프로그램에서의 변수는 값을 저장해놓고 나중에 다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다음 코드를 보자x=3 (밑에서도 설명하겠지만 프로그램에서 ' = ' (등호)는 우변을 좌변에다가 바인딩하겠다는 뜻이다. 같다의 참/거짓을 판별하기 위해선 ' == ' 을 쓴다.)여기서 3을 x에다가 바인딩(저장이라 생각하자) 시켜주게되면 x는 3이라는 값을 링크시킨다. 이렇게만 보면 변수 바인딩만 가능하다고 생각된다.x=3*5그러나 여기서는 명령문이다 3곱하기5를 한뒤에 그값을 x에 바인딩 시켜라 라는 뜻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다른 서적이나 강의를.. 더보기 [Python3] 숫자 야구 게임 앞으로 갑자기 생각난 알고리즘을 여기에다가 끄적여 볼까 한다. 갑자기 생각난 프로그램이니 조금 부실하여도 이해해주길 바란다 "숫자 야구"무엇인가 굉장히 엄청날 것 같지만 쉽게 생각하면 숫자로 행맨 하는 놀이이다. 둘이서 하고 서로가 1~10자리 숫자를 생각한 후(보통은 3,4) 차례로 상대의 숫자를 맞춘다. 규칙은 아래와 같다. ● 사용되는 숫자는 0에서 9까지이며 중복은 허용치 않는다.(맨 처음숫자가 0이어도 상관없다.) ● 숫자는 맞지만 위치가 틀리면 볼 ● 숫자와 위치가 둘다 맞으면 스트라이크 ● 숫자와 위치가 둘다 틀리면 아웃 ● 무슨 숫자가 볼이고 스트라이크인지는 알려주지 않는다 단순해 보이지만 랜덤, 중복체크, 숫자배열 등등 여러개가 쓰인다. 알고리즘을 짜본다면(컴퓨터와 하니 내가 일방적으로 .. 더보기 이전 1 ··· 67 68 69 70 71 72 73 다음